부제: 결혼 후 2주택 양도소득세 비과세 완벽 가이드!
이 글의 요약
✔ 결혼으로 인한 2주택은 혼인
합가 특례로 비과세 가능합니다 ✔ 2024년부터 특례 적용 기간이 5년에서 10년으로 확대되었습니다 ✔ 각 주택이 비과세 요건을 충족하면 매도 순서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 3주택 이상인 경우 혼인 합가 특례를 적용받을 수 없습니다 ✔ 추가 주택 구매 없이는 어떤 순서로 매도해도 비과세 혜택 가능합니다 |
1. 결혼 특례 2주택 양도소득세 의문
현재 2주택이지만 결혼 특례 적용으로 1세대 1주택으로 간주되고, 또 어느 주택을 먼저 매도하든 1세대 1주택으로 간주되고 각각 비과세 요건도 충족해서 양도소득세가 과세되지 않는 걸로 이해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최근 지인을 통해서 각 주택의 비과세 조건에 만족하더라도 어떤 주택을 먼저 매도하느냐에 따라서 두 번째 매도하는 주택에 양도소득세가 과세 또는 비과세 적용된다고 들었습니다.
2. 혼인 합가 특례 적용 조건과 기간
2.1 기본 적용 조건
2.2 특례 적용 기간 확대
3. 매도 순서에 따른 과세 여부 판단
3.1 첫 번째 매도 주택
3.2 두 번째 매도 주택
4. 3주택 이상일 때 주의사항
4.1 혼인 합가 특례 제외 조건
소득세법 시행령을 보면 '혼인함으로써 1세대가 2주택을 보유하게 되는 경우'라고 명시되어 있기 때문에, 합쳐서 3주택 이상이 되면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
4.2 3주택 이상일 때 매도 전략
본 포스팅은 [MBC라디오 손경제]의 정보를 참고하였습니다.
5. Q&A
A: 네, 결혼한 날로부터 10년 이내에 매도해야 혼인 합가 특례를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A: 결혼 후 총 3주택이 되므로 혼인 합가 특례를 적용받을 수 없습니다. 2주택으로 줄인 후 매도해야 합니다.
A: 혼인 합가 특례는 결혼으로 인한 2주택 상황에서 첫 번째 매도 주택에 적용되고, 일반 1주택 비과세는 실제 1주택 상태에서 적용됩니다.
A: 1주택 상태에서 추가 주택을 구매한 경우, 기존 주택을 3년 내에 처분하면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A: 규제 지역에서는 2년 이상 거주해야 하고, 그 외 지역에서는 2년 이상 보유만 하면 됩니다.
6. 결론
🍎 결혼으로 인한 2주택은
10년간 혼인 합가 특례 적용이 가능합니다 🍎 각 주택이 비과세 요건을 충족하면 매도 순서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 3주택 이상일 때만 매도 순서를 신중히 고려해야 합니다 🍎 추가 주택 구매 계획이 없다면 세금 걱정 없이 매도할 수 있습니다 🍎 전문가와 상담 후 개인 상황에 맞는 최적의 방법을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
7. 함께 읽으면 도움 되는 글
혼인 신고 후에도 불안 없는 주택 청약👆
일시적 2주택 비과세 분양권기준 가이드👆
재건축(일시적2주택)양도세폭탄 피하는비법👆
새집사고,기존집팔때(일시적2주택)세금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