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site-verification=RRhpFk6wBoi4VO2ysQiufVPrXuJGBxGj0wjOxLhxLq8
Responsive Advertisement

서울에서 내집마련, 14년 모아도 부족한 현실



요즘 주변을 둘러보면 "내 집이 있었으면" 하는 한숨이 여기저기서 들립니다. 특히 서울에서 일하는 젊은 친구들을 만나면 "도대체 언제쯤 집을 살 수 있을까요?"라는 질문을 자주 받습니다. 그럴 때마다 저는 솔직하게 답합니다.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불가능하지도 않습니다." 국토부가 최근 발표한 주거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우리가 느끼는 막막함이 숫자로 고스란히 드러납니다.


서울에서-내집마련,-14년-모아도-부족한-현실


부제: 서울 집값, 월급 14년 모아도 안 되는 이유


이 글의 순서


1. 전국 자가보유율, 겉으로는 좋아 보이지만
2. 소득 대비 집값, 서울은 13.9배의 충격
3. 월세·전세 부담, 수도권이 가장 무겁다
4. 생애 첫 내집마련, 7.9년이 걸린다는 의미
5. 한 집에서 오래 산다? 움직이지 못하는 현실
6. 청년과 신혼부부, 집 없는 세대의 속사정
7. Q&A
8. 결론


이 글의 요약


서울에서 집을 사려면 월급 14년치를 모아야 하는 현실입니다.

전국 자가보유율은 61.4%로 올랐지만 지역 격차는 여전합니다.

수도권 임차가구는 소득의 18.4%를 월세로 지출하고 있습니다.

생애 첫 주택 마련까지 평균 7.9년이 소요되며 점점 길어집니다.

청년 자가비율은 12.2%에 불과해 주거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습니다.


1. 전국 자가보유율, 겉으로는 좋아 보이지만


서울에서-내집마련,-14년-모아도-부족한-현실


국토부가 발표한 2024년 주거실태조사를 보면 전국 자가보유율은 61.4%로 작년보다 0.7%포인트 올랐습니다.

자기 집에 실제로 사는 비율인 자가 점유율도 58.4%로 1% 가까이 증가했습니다. 수도권, 광역시, 도 지역 모두 자가보유율이 함께 상승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1.1 지방은 69%, 수도권은 55%의 온도차


하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지방은 자가비율이 69%대로 높지만, 수도권은 여전히 55%대에 머물러 있습니다.

숫자상으로는 모두 조금씩 나아진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집을 사려는 사람들이 느끼는 체감 난이도는 전혀 다릅니다.


2. 소득 대비 집값, 서울은 13.9배의 충격


서울에서-내집마련,-14년-모아도-부족한-현실


전국 자가가구의 연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율(PIR)은 6.3배로 유지되었습니다. 하지만 지역별로 나누어 보면 이야기가 완전히 달라집니다.

수도권은 8.7배, 광역시는 6.3배, 도 지역은 4.0배입니다. 그리고 서울은 무려 13.9배입니다.


2.1 14년을 모아도 부족한 현실


서울에서 집을 사려면 월급을 한 푼도 쓰지 않고 14년 가까이 모아야 한다는 뜻입니다. 이건 단순히 비싸다는 표현을 넘어, 내집마련 속도보다 집값 상승 속도가 훨씬 빠르다는 구조적 문제를 보여줍니다.

세종과 경기까지 포함하면 대도시권 전반에서 주거 부담이 높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3. 월세·전세 부담, 수도권이 가장 무겁다


서울에서-내집마련,-14년-모아도-부족한-현실


임차가구의 임대료 부담(RIR)은 전국 기준 15.8%로 작년과 동일했습니다. 하지만 수도권은 18.4%로 여전히 높습니다.

광역시는 15.2%, 도 지역은 12.7%로 모두 작년보다 부담이 줄었지만, 수도권만큼은 소득의 5분의 1 가까이를 월세나 전세이자로 내고 있는 셈입니다.


3.1 월세 내면 저축은 꿈도 못 꾼다


제가 만난 많은 임차인들은 "월세 내고 나면 저축할 돈이 거의 없어요"라고 말합니다. 실제로 수도권에서 월 200만 원을 벌면 약 37만 원을 월세로 내야 합니다. 여기에 생활비와 교통비를 빼면 저축은커녕 여유 자금 자체가 생기지 않습니다.


4. 생애 첫 내집마련, 7.9년이 걸린다는 의미


서울에서-내집마련,-14년-모아도-부족한-현실


생애 최초로 주택을 마련하기까지 걸린 시간은 올해 기준 7.9년으로, 작년보다 약 2개월 늘었습니다. 청년 세대일수록 더 오래 걸리고, 신혼부부는 PIR이 6.0배로 전국 평균보다는 약간 낮지만 주택가격 부담은 여전히 큽니다.


4.1 시간은 늘어나고, 기회는 줄어든다


7.9년이라는 숫자는 단순히 시간만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그 사이 결혼을 미루고, 출산을 포기하고, 자기계발을 뒤로 미루는 선택들이 쌓입니다. 집 한 채를 위해 인생의 가장 중요한 시기를 온통 저축에만 쏟아붓는 현실이 안타깝습니다.


5. 한 집에서 오래 산다? 움직이지 못하는 현실


서울에서-내집마련,-14년-모아도-부족한-현실


전체 평균 거주 기간은 8.4년으로 5개월 늘었습니다. 자가는 11.5년, 임차는 3.6년으로 차이가 큽니다. 수도권은 평균 7.9년인데 광역시는 10년 가까이, 도 지역은 10~11년에 달합니다. 현 집에 2년 이하 거주 가구는 30.3%로 줄었습니다.


5.1 버티기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다


이런 변화는 긍정적인 안정성이 아니라 부동산 규제, 금리 상승, 불확실성 때문에 "움직이지 않고 버티기"를 선택한 결과입니다.

이사를 가고 싶어도 갈 수 없고, 더 나은 환경으로 옮기고 싶어도 비용 부담 때문에 포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6. 청년과 신혼부부, 집 없는 세대의 속사정


서울에서-내집마련,-14년-모아도-부족한-현실


청년가구는 자가비율이 12.2%에 불과하고, 임차 비율이 82.6%에 달합니다. 오피스텔 등 비주택 거주 비율도 17.9%로 높습니다.

청년 PIR은 6.0배로 전년과 동일했지만, 임차 RIR은 16.0%로 떨어져 부담이 약간 줄었습니다. 

6.1 신혼부부도 집 사기는 요원하다


신혼부부는 자가비율이 43.9%로 작년보다 오히려 2.5%포인트 떨어졌습니다. 대부분 아파트에 거주하며 PIR은 6.0배로 작년 대비 증가했습니다.

임차 RIR은 17.7%로 감소해 부담은 조금 낮아졌지만, 전세대출 규제나 고금리 상황이 주택 구매를 막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본 포스팅은 [DuBu 레터]의 기사 정보를 참고하였습니다.


7. Q&A


Q1. 서울에서 집을 사려면 정말 14년이나 걸리나요?
  A. 네, 국토부 조사 결과 서울의 PIR은 13.9배로, 연소득을 한 푼도 쓰지 않고 모아도 약 14년이 걸립니다. 실제로는 생활비가 들기 때문에 훨씬 더 오래 걸립니다.


Q2. 전국 자가보유율이 올랐다는데 왜 체감은 다른가요?
  A. 자가보유율은 전체 평균이고, 수도권과 지방의 격차가 크기 때문입니다. 지방은 69%대지만 수도권은 55%대에 머물러 있습니다.


Q3. 청년 자가비율이 12.2%밖에 안 되는 이유는 뭔가요?
  A. 청년층은 소득이 낮고 목돈 마련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또한 취업 불안정, 높은 전월세 비용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


Q4. 신혼부부도 집을 사기 어려운가요?
  A. 네, 신혼부부 자가비율은 43.9%로 작년보다 떨어졌습니다. 전세대출 규제와 고금리가 주택 구매를 어렵게 만들고 있습니다.


Q5. 앞으로 주거 부담은 더 커질까요?
  A. 현재 추세로 보면 주거 양극화가 심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집을 가진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의 격차가 더 벌어질 수 있습니다.







8. 결론


🍎 서울 집값은 단순히 비싼 수준을 넘어 구조적 문제가 되었습니다.

🍎 자가보유율 상승은 긍정적이지만 지역 격차는 여전히 큽니다.

🍎 청년과 신혼부부는 내집마련이 점점 더 멀어지고 있습니다.

🍎 주거 양극화는 갈수록 심해지며 사회 문제로 번지고 있습니다.

🍎 현실을 직시하고 자신의 상황에 맞는 전략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키워드: #자가보유율, #PIR, #RIR, #내집마련, #주거부담, #청년주거


 

이전최근